물론 믿기 어려울 수도 있지만,
여러분 월 10만 원으로 총 1,440만 원을 만들 수 있는 절호의 기회!
바로 청년내일저축계좌입니다.
정부가 3년 동안 최대 1,080만 원을 지원해 주는,
그야말로 혜자로운 정책이 2025년에도 돌아왔습니다.
올해는 특히 소득 기준이 완화되어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는데요.
5월 21일까지 단 2주간만 신청 가능하니 놓치지 마세요. !!
청년내일저축계좌란?
3년 동안 근로를 유지하며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추가로 지원금을 얹어주는 제도입니다.
조건에 따라 최대 1,080만 원의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어요.
1. 가입 대상 조건
① 차상위 계층 (더 많은 지원)
- 나이: 15세 이상 ~ 39세 이하
- 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1인 가구 기준 약 119만 원 세후 기준)
- 근로소득: 월 10만 원 이상 필수
- 백수는 가입 불가, 최소한 파트타임 근로는 있어야 함
➡️ 정부 지원금 월 30만 원 × 36개월 = 총 1,080만 원
② 차상위 초과 계층 (일반 저소득 청년)
- 나이: 19세 이상 ~ 34세 이하
- 소득: 기준 중위소득 50% ~ 100% (세전 약 50만 원 초과 ~ 250만 원 이하)
- 근로소득: 월 10만 원 이상
➡️ 정부 지원금 월 10만 원 × 36개월 = 총 360만 원
2. 가입 불가 대상
다음에 해당되는 경우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 실업급여 수령 중인 자
- 육아휴직수당 수령 중인 자
- 무급 근로자
- 대학 근로장학생
3. 얼마나 모일 수 있나요?
① 차상위 계층
- 본인이 3년간 저축하는 금액: 총 360만 원
- 정부에서 매월 30만 원씩 총 1,080만 원 지원
- 최종 수령 총액: 1,440만 원
② 차상위 초과 계층
- 본인이 3년간 저축하는 금액: 총 360만 원
- 정부에서 매월 10만 원씩 총 360만 원 지원
- 최종 수령 총액: 720만 원
4. 2025년 신청 방법 및 일정
- 신청 기간: 2025년 5월 2일(목) ~ 5월 21일(수)
- 신청 방법:
주민센터 직접 방문
📌 신청 후 일정:
6~7월: 대상자 선정
8월: 가입 안내 및 계좌 개설
5. 주의사항
- 3년 동안 근로 유지 필수: 지원금 받으려면 중간에 그만두면 안 돼요!
- 도약계좌와 중복 가능: 청년도약계좌와도 함께 가입할 수 있어요.
지금이 아니면 또 언제 이런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 소득이 적은 청년일수록 이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