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비니의 정보만물상 입니다.
월세 때문에 한숨 쉬는 분들 많으시죠?
취업 준비 중이거나 대학 다니는 청년들,
막 사회에 진입한 사회 초년생들,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분들에겐 월세가 큰 부담입니다.
심지어 부모님이 지원해 주시는 경우에도 가계 부담이 만만치 않죠.
그래서 오늘은 이런 분들을 위한 꿀팁!
정부가 매달 월세 20만 원을 지원해주는 ‘청년 월세 지원금’ 제도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 청년 월세 지원금이란?
청년들의 주거 부담을 덜기 위해 정부에서 월 최대 20만 원,
최대 24개월 동안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즉, 총 48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는 제도가 한층 개선되어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2025년 변경 사항
- 지원 기간: 기존 12개월 → 24개월
- 총 지원 금액: 240만 원 → 480만 원
- 소득 및 재산 기준 완화
- 더 많은 청년이 지원 가능
● 지원 대상 조건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건 아니에요! 아래 조건에 해당해야 합니다:
1. 연령 조건
- 만 19세~34세 청년 (1990년생 ~ 2006년생)
2. 주택 조건
-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
- 본인 명의로 임대차 계약이 되어 있어야 함
3. 무주택자
- 청년 본인이 무주택자여야 함
4. 재산 조건
- 청년 가구 재산: 1억 2,200만 원 이하
- 원가구(부모 포함): 4억 7천만 원 이하
5. 소득 조건
- 청년 가구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 1인 가구 기준 약 143만 원 이하
- 원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지원 내용
- 지원 금액: 월 최대 20만 원
- 지원 기간: 최대 24개월
- 총액: 최대 480만 원
예를 들어 월세 40만 원의 원룸에 살고 있다면,
20만 원은 정부가, 나머지 20만 원만 본인이 부담하면 됩니다.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1. 복지로 홈페이지 접속 (www.bokjiro.go.kr)
2. ‘청년 월세 지원금’ 검색
3. 본인 인증 후 신청서 작성
4. 필요 서류 업로드 후 제출
🔹 오프라인 신청
1. 거주지 주민센터 방문
2.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제출
● 필요 서류
- 본인 신분증
- 임대차 계약서
- 소득 증빙 서류
- 주민등록등본
- 가족관계증명서
특히 등본과 가족관계증명서는 ‘부모님과 따로 거주 중’이라는 걸 증명하는 데 필수입니다.
● 자주 묻는 질문(FAQ)
Q. 전세 사는 사람도 받을 수 있나요?
A. 아니요. 월세 계약을 맺고 있어야 합니다.
Q. 고시원이나 쉐어하우스도 가능한가요?
A. 네. 임대차 계약이 본인 명의로 되어 있다면 가능합니다.
Q. 부모님이 주거급여를 받고 있으면 신청 불가인가요?
A. 본인이 독립 가구로 살고 있다면 신청 가능합니다. 단, 본인이 주거급여를 직접
받고 있다면 중복 지원 불가입니다.
● 마무리
청년 월세 지원금은 작년에도 있었지만,
2025년부터는 더욱 강화된 혜택으로 돌아왔습니다.
아직 지원받지 못한 청년들이 있다면 이번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
주변에 해당 조건에 해당하는 분들에게 꼭 공유해 주세요.
많은 청년들이 경제적 부담을 덜고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말이죠.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주십시요.